(열왕기상 19:1~8) 1 아합이 엘리야의 무릇 행한일과 그가 어떻게 모든 선지자를 칼로 죽인 것을 이세벨에게 고하니 2 이세벨이 사자를 엘리야에게 보내어 이르되 내가 내일 이맘때에는 정녕 네 생명으로 저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생명 같게 하리라 아니하면 신들이 내게 벌 위에 벌을 내림이 마땅하니라 한지라 3 저가 이 형편을 보고 일어나 그 생명을 위하여 도망하여 유다에 속한 브엘세바에 이르러 자기의 사환을 그 곳에 머물게 하고 4 스스로 광야로 들어가 하룻길쯤 행하고 한 로뎀나무 아래 앉아서 죽기를 구하여 가로되 여호와여 넉넉하오니 지금 내 생명을 취하옵소서 나는 내 열조보다 낫지 못하니이다 하고 5 로뎀나무 아래 누워 자더니 천사가 어루만지며 이르되 일어나서 먹으라 하는지라 6 본즉 머리맡에 숯불에 구운 떡과 한 병 물이 있더라 이에 먹고 마시고 다시 누웠더니 7 여호와의 사자가 또 다시 와서 어루만지며 이르되 일어나서 먹으라 네가 길을 이기지 못할까 하노라 하는지라 8 이에 일어나 먹고 마시고 그 식물의 힘을 의지하여 사십주 사십 야를 행하여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니라 해마다 여름철이 되면 휴가를 떠나는 분들이 많이 있음을 쉽게 보게 된다. 그만큼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휴식이 필요한 것이다. 육신적으로나 영적으로 탈진하게 되면 의욕도 사라지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혹여 그동안 주님을 위해 열심히 봉사하느라 탈진해있다고 한다면 “엘리야”처럼 주님의 위로와 말씀으로 사명을 재발견할 수 있기를 원한다. 지금 읽은 본문 앞 절에는 “엘리야”선지자가 <갈멜산>에서 기적을 경험한 내용들이 기록되고 있다. 믿음의 선지자 “엘리야”의 기도를 통해 불로 응답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와 우상숭배자 850명을 처단하는 능력을 그가 그처럼 체험했음에도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합>왕의 아내인 왕비 <이세벨>이 사람을 보내어 자신을 죽이겠다고 전하자 두려워 도망치는 모습이 본문 3~4절에서 생생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엿볼 수가 있다. 지중해 북쪽 <갈멜산>에서 남쪽 <브엘세바>까지 지친 몸으로 달려간후, 하룻길을 더 가서 광야로 들어갔다고 했다. 광야는 하나님이 보호하지 아니하시면 죽는 곳이다. “엘리야”는 로뎀나무 아래 앉아서 하나님께 지금 자신의 생명을 거두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3 저가 이 형편을 보고 일어나 그 생명을 위하여 도망하여 유다에 속한 브엘세바에 이르러 자기의 사환을 그 곳에 머물게 하고 4 스스로 광야로 들어가 하룻길쯤 행하고 한 로뎀나무 아래 앉아서 죽기를 구하여 가로되 여호와여 넉넉하오니 지금 내 생명을 취하옵소서 나는 내 열조보다 낫지 못하니이다 하고 “엘리야”는 왜 하필 로뎀나무 아래서 죽기를 간구했을까? 로뎀나무는 3미터 정도로 자라는 나무로 잎사귀가 크지 않아 그늘이 만들어지지 않는 나무라고 한다. 로뎀나무는 결코 쉼의 자리가 아니다. “엘리야”가 로뎀나무 아래서 쉬려고 머리를 땅에 대고 있는 모습은 참으로 비참한 광경이 아닐 수 없다. 로뎀나무 아래 햇빛을 피하는 것은 유대인들에게는 가장 참담한 신세를 상징한다. 교회나 가정, 일터에서 쉼을 얻지 못하고 지쳐 쓰러져 “엘리야”와 같은 형편에 처한 분이 있다면 그곳이 어쩌면 로뎀나무일 수도 있다. 서로 의지가 되지 못하고 쉼을 제공하지 못하고 그 늘이 되어주지 못하는 가정은 마치 로뎀나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상사의 갑질, 폭언, 성희롱과 월급이 제때에 나오지 않는 직장은 비유적 표현으로 로뎀나무와 같은 곳일 수 있겠다. 은혜가 사라지고 사랑이 식어지고 헌신이 부족한 교회도 로뎀나무와 같지 않을까 싶다. 희망이 없어지고 죽고 싶은 마음이 들 때 그때가 곧 “엘리야”의 형편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아진다. 얼마나 힘들었으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겠는가? 인생의 짐이 얼마나 무거웠으면 그만 살고 싶을까 말이다. 얼마만큼 삶이 고달프고 낙심이 되었으면 생을 포기하고 싶겠는가? 마지막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곳, 로뎀나무 아래서는 누구나 이처럼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비참한 상황에 있는 “엘리야”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5 로뎀나무 아래 누워 자더니 천사가 어루만지며 이르되 일어나서 먹으라 하는지라 6 본즉 머리맡에 숯불에 구운 떡과 한 병 물이 있더라 이에 먹고 마시고 다시 누웠더니 7 여호와의 사자가 또 다시 와서 어루만지며 이르되 일어나서 먹으라 네가 길을 이기지 못할까 하노라 하는지라 “엘리야”는 죽기를 원했는데 하나님께서는 천사를 보내어 그를 위해 식탁을 준비하고 계심을 보여주고 계신다. 하나님은 로뎀나무 숯불로 구운 떡과 광야에서 얻기 힘든 생수를 예비하셨고 로뎀나무 아래 쓰러진 “엘리야”를 위로하시고 은혜를 베푸신다. 여호와 이레의 은혜인 것이다. 하나님은 비겁하게 도망자가 되어버린 “엘리야”에게 그 어떤 책망도 안하시고 죽음의 자리에서 “엘리야”를 다시 일으키시며 사명자의 길을 가도록 기회를 주고 계시는 임마누엘의 하나님이신 것이다. 가장 힘든 환경과 일들이 하나님의 은혜가 임하는 자리가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한다. 절대절망이 절대희망이 될 수 있다는 반증이다. 죽고 싶을 만큼 힘들 때 하나님의 은혜가 준비되고 있음을 알아야한다. 가정이나 교회에서 맡은 책임이 너무 힘들어 그만두고 싶은 생각이 드는가? 사람이나 문제들로 인해 은혜와 축복이 사라지고 영적탈진을 경험하고 있다면 낙심하지 않고 포기하지 말아야한다. 아직 끝이 아니며 그때가 하나님의 은혜를 입게 되는 더없는 축복의 기회임을 알아야한다. 생명의 양식인 만나도 밤에 내렸다고했다. 하나님의 은혜도 인생의 밤이 깊어지고 고난이 임계점에 달할 때 임하게 된다. 고통의 현장이 도리어 주님을 만나는 은혜의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난의 골짜기를 지날 때 주님의 위로가 질실히 필요하고 전적으로 자신의 삶을 온전히 맡기는 믿음이 요구된다하겠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라” (시편 50:15) “ 엘리야”가 광야의 로뎀나무 아래에서 하나님을 간절히 찾았더니 그를 살리셨고 사명을 감당하게 하셨을 뿐 아니라 마지막에 “에녹”처럼 그가 죽음을 보지 않고 승천하는 은혜를 입었음을 성경이 증거하고 있지 않는가? 하나님께서는 주님의 자녀들이 인생의 위기를 만날 때 로뎀나무 아래에서 은혜를 경험하고 사명으로 살아가기를 원하신다. 8 이에 일어나 먹고 마시고 그 식물의 힘을 의지하여 사십주 사십 야를 행하여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니라 “엘리야”는 처음 호렙산으로 가려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지쳐 로뎀나무 아래에서 그만 쓰러지고 만다. 그는 그곳에서 하나님을 만났고 힘을 얻어 일어나 40주야를 달려서 호렙산에 이르게 된다. 호렙산에서 하나님을 만나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을 만난 사람은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삶의 목적이 분명해진다. 영적탈진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그러기에 지치고 힘들 때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 호렙산(교회)을 찾아야한다. 우리는 얼마만큼 주님을 위해 애쓰고 수고하고 헌신하고 있는가? 길을 잃은 자가 사명을 발견할 때 비로소 삶의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들도 주님을 새롭게 만남으로 이 같은 영적 탈진에서 벗어나 각자에게 주신 사명을 재발견하는 특단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