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신중해서라고 착각한다

 

가장 큰 착각은 결정을 미루고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는 것을

 

'신중함'이라고 미화하는 것이다.

 

이들은 더 많이 고민하고 비교해 볼수록

 

더 좋은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 있다.

 

하지만 비교의 범주가 커지고 정보가 많아질수록

 

판단 마비에 빠져 마냥 결정을 미루거나 


시간에 좇겨 충동적으로 결정해 버린다.

 

 

 

둘째,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마지막 단추를 끼울 수 없다고 여긴다

 

결정을 잘못하면 이를 바로잡을 수 없고 


갈수록 그 잘못이 커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살면서 하는 수 많은 결정 중 잘못된 것이 있다면

 

이를 보완하고 개선해서 교정할 기회도 있기 마련이다.

 

설사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다고 하더라도 


중간에 다시 풀고 끼우면 된다.

 

그런 시행착오를 거쳐야 점점 단추를 잘 끼울 수 있다.

 

 

 

셋째, 최고의 결정이란 결정의 순간에 달려 있다고 착각한다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들은 


비교하고 또 비교해서 '무결점의 결정'을 하려고 한다.

 

하지만 애초에 후회 없는 선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결정을 하든 


선택하지 않은 대안들에 대한 미련이 남을 수 밖에 없다.

 

결정에 대한 만족은 결정의 순간보다 결정 후 과정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의 추억을 담기 위해 카메라를 골랐다면

 

어떤 제품을 골랐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가족의 추억을 얼마나 잘 카메라에 담느냐에 달려 있다.

 

....

 

....

 

좋은 선택이란 자신의 목적을 잊지 않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최적의 시기에 선택하여

 

그 결정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는 데 있다.

 

즉, 선택의 순간뿐 아니라 


선택의 과정에 만족도가 달려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된다.

 

 

『스스로 살아가는 힘, 문요한 지음』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