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독의 발견>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원재훈 시인이 이런 말을 했다.

 

작년 가을에 잠자리 한 마리가 사무실로 날아 왔습니다

  사무실에는 아홉 개의 창문이 있습니다

  그런데 잠자리가 나가지를 못하는 겁니다

  잠자리는 아시다시피 곁눈홑눈 합해서 만 개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만 개의 눈이 다 필요 없었습니다

  창밖으로 나갈 수 있는 한 개의 눈만 있으면 되는데

  그 한 개의 눈이 없었던 것입니다그것을 보고 생각했습니다.

 

  아난 지금 만 개의 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한 개가 필요한데.

 


만 개의 지식이 있어도 결정적인 한 가지 지식이 없어 무너진다

인간의 지식과 기술은 만 개백만 개로 놀랍도록 발전했다

그러나 만물과 인간의 기원죽음그리고 죄 사함 등 

결정적인 주제에 있어서는 젬병이다

인간의 근본을 다루는 인문학도 이 문제에 있어서는 

교묘하게 주제를 피해가거나 말장난 수준에 머문다.

 

프란츠 카프카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에게는 길이 없습니다

  우리가 길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방향일 따름입니다.>

 

천 개의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 있다.

밖으로 나가는 길을 찾아내는 결정적인 한 개의 눈이 있다.

(한재욱인문학을 하나님께)

 

그 한 개의 눈이 무엇일까?

그 정답은 성경에 있다성경은 그 정답을 이렇게 말한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 (요한복음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