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계(五計) **
중국 송(宋)나라때 주신중(朱新仲)이라는 학자가
인생 오계론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인간이 한평생 살아가면서 다섯가지의 계획을
올바로 세워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첫째는 생계(生計)입니다.
나는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는가?
하는 계획으로서 직업에 관한 계획과 준비입니다.
*둘째는 신계(身計)라고 합니다.
요즈음 말로 하면 건강을 위한 관리와 계획입니다.
내가 내 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몸과 마음을 강건하게 하는 방법을 찾는 계획을 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가계(家計)입니다.
가정을 어떻게 꾸려나갈 것인가?
경제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람과 신뢰와 정신적인 안정도
중요합니다.그리고 부부 관계, 부모 자식 관계,
형제 관계를 잘 맺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넷째는 노계(老計)입니다.
이것은 노후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나이가 들어서 무엇을 하다가 갈 것인가?
어떻게 건강 관리를 하고 어떻게 경제 생활을 하며,
자식과 사회에 부담이 되지 않을까 하는 계획입니다.
*다섯번째는 사계(死計)라고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사람은 죽음 이후에 대하여 분명하고
바른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 安秉煜 숭실대 명예교수 / 生活 에세이 중에서 -*
**오멸(五滅) **
이 주신중(朱新仲)의 인생 오계론(五計論)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조선 중기에 전통 선비층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맞을 수 있느냐는 사계(死計)문화가 번져 있었으며,
이 유행으로 나타난 것이 이른바 ‘오멸(五滅)’이라는 노후철학이었습니다.
*첫째가 멸재(滅財)로
삶에 미련을 잡아두는 재물을 극소화해야 죽음이 편안해진다는 것이고,
*둘째가 멸원(滅怨)으로
살아오는 동안 남에게 산 크고 작은 원한을
애써 풀어 버릴수록 죽음이 편안해지며,
*셋째가 멸채(滅債)로
남에게 진 물질적 정신적 부채를 청산하는 일입니다.
*넷째가 멸정(滅情)으로
정든 사람, 정든 물건으로부터 정을 뗄수록 죽음이 편해지며,
*다섯째가 멸망(滅亡)인데
죽어서도 죽지 않고 산다는 것입니다.
이 멸망은 ‘망하여 없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결딴나지 않게 한다’는 것으로 죽어서도 산 사람과 더불어 산다는
우리 제례 문화의 바탕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