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 파는 노인 



켄 가이어의 ‘묵상하는 삶’이란 책을 보면 이런 이야기가 실려 있다.

 



멕시코시티의 대형 시장 그늘진 한 구석에 ‘포타라모’라는 인디언 


노인이 있었다.


노인 앞에는 양파 스무 줄이 걸려 있었다. 


시카고에서 온 미국인 한 명이 다가와 물었다.


 “양파 한 줄에 얼맙니까?”


 “10센트라오.” 포타라모는 말했다.


 “두 줄에는 얼맙니까?”


 “20센트라오.”


 “세 줄에는요”


 “30센트라오.”

 


그러자 미국인이 말했다.


 “별로 깎아 주시는 게 없군요. 25센트 어떻습니까?”


 “안되오.” 인디언이 말했다.


 “스무 줄을 다 사면 얼맙니까?” 미국인이 물었다.


 “스무 줄 전부를 팔 수 없소.” 인디언이 대답했다.

 

 “왜 못 파신다는 겁니까? 양파 팔러 나오신 것 아닙니까?” 


미국인이 물었다.


그러자 인디언이 대답했다.


 “아니오. 나는 지금 인생을 살러 여기 나와 있는 거요. 


  나는 이 시장을 사랑한다오. 북적대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햇빛을 사랑하고, 


  흔들리는 종려나무를 사랑한다오. 지나가던 친구들이 다가와 인사를 건네고, 


  자기 아이들이며 농작물 얘기를 하는 것을 사랑한다오. 그것이 내 삶이오. 


  바로 그걸 위해 하루 종일 여기 앉아 양파 스무 줄을 파는 거요. 한 사람한테 


  몽땅 팔면 내 하루는 그걸로 끝이오. 사랑하는 내 삶을 잃어버리는 것이오. 


  그렇게는 할 수 없다오.”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돈벌이보다 더불어 사는 이들을 중시하는 삶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인디언 포타라모의 삶은 어쩌면 우리가 살고 있는 것보다 


더 성경적이고 기독교적인 삶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자인 켄 가이어는 우리에게 성스러움이란 다분히 우리 일상의 평범한 


순간 속에 숨여 있다고 말하며 일상의 순간 속에서 성스러운 것을 보려면 걸음을 


늦추고 더욱 묵상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인디언의 삶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소개해 준다.

 

 “인디언의 삶에는 꼭 한 가지 피할 수 없는 의무가 있다. 기도의 의무, 


  매일 신을 찾아 뵙는 의무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매일의 예배는 날마다 먹는 


  양식보다 더 필수적인 것이다. 인디언은 동틀 무렵 일어나 물가로 내려간다. 


  그리고 차고 깨끗한 물을 얼굴에 한 움큼 끼얹거나 아예 전신을 물에 담근다. 


  목욕 후에는 밝아 오는 여명, 지평선 위로 춤추는 태양을 향해 똑바로 서서 


  침묵의 기도를 드린다. 이 예배는 동료 간에도 서로 먼저 가거나 뒤따르거나 


  해야지 같이 가는 법은 결코 없다. 아침의 태양, 신선한 대지, 위대한 침묵의 


  신을 영혼마다 단독으로 만나야 하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우리의 인생을, 그리고 우리의 신앙을 생각해 보았다. 


날마다 아침 햇살을 어떻게 맞이하고 있고, 내 인생의 피할 수 없는 한 가지 


의무는 무엇이며, 매일의 예배는 내게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 말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은 돈으로 사고 팔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야고보의 표현을 빌면 하늘 아버지께서 주시는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로 가득 차 있는 성스러운 것이다. 그러므로 경건한 사람의 


인생에 대한 태도는 희망에 찬 외경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자비가 또 


하루의 선물과 함께 우리 앞에 밝아오는 새 아침마다 우리는 희망에 찬 


외경의 태도로 하루 하루를 맞이해야 한다. 


새로운 하루는 어찌 보면 평범한 것들 속에 비범한 것들이 있는 성찬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