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레의 시민> 은 조각가 로댕(Rene-Francois-Auguste Rodin: 1840 - 1917)이
제작한 조각 작품입니다. 칼레市가 1347년 영국에 의해 포위되었을 때 시민들을
위해 밧줄에 목을 매어 처형받기로 자원한 6명의 칼레시민들을 조각한 작품입니다.
1347년 도버해협 양쪽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백년전쟁 때의 일입니다.
1년 가까이 영국의 공격을 막던 프랑스의 북부도시 칼레는 원병을 기대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백기를 들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칼레시의 항복사절은 도시 전체가 불타고 모든 칼레의 시민이 도살되는 운명을
면하기 위해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하였습니다. 완강한 태도를 보이던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항복의 조건을 내 놓았습니다."좋다. 칼레시민들의 생명은
보장하겠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동안의 어리석은 반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만 한다.
이 도시에서 가장 명망이 높던 대표적인 시민 대표를 골라 교수형에 사용될 밧줄을
목에 걸고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로 영국군 진영으로 가서 도시의 열쇠를 건넨 후
목을 매 처형받아야 한다."
시민들은 기뻐할 수도 슬퍼할 수도 없었습니다. 누군가 6명이 그들을 대신해
죽어야만 했기 때문입니다. 그때 용감하게 6명이 선뜻 나섰습니다. 모두 그 도시의
핵심인물이며 절정의 삶을 누리던 부유한 귀족이었습니다. 칼레에서 가장 부자인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가 가장 먼저 자원했습니다. "자 칼레의 시민들이여...나오라...
용기를 가지고..."
그러자 시장이 나섰습니다. 상인이 나섰습니다. 그의 아들도 나섰습니다.
드디어 일곱 명이 되었습니다. 한 사람은 빠져도 되었지요. 제비를 뽑자는 말도 있었
지만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생피에르는 "내일 아침 장터에 제일 늦게 나오는 사람을 빼자" 제의했고 이에 모두
동의했습니다. 그들의 고통의 밤은 그렇게 깊어갔습니다. 이튿날 이른 아침 여섯
명이 모였습니다. 그러나 생 피에르가 오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그가 궁금
했습니다. 모두 안 나와도 그는 나올 사람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 죽음을 자원한 사람들의 용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칼레의 명예를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처형되려던 마지막 순간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왕비의 간청을 듣고
그 용감한 시민 6명을 살려주었습니다. 그로부터 550년이 지난 1895년 칼레市는
이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기 위해 생피에르에 조각상을 제작하기로 하고 조각가
로댕에게 의뢰했습니다. 이 작품이 바로 <칼레의 시민>입니다. 1895년 6월 3일
기념상이 제막되었습니다.
비장한 슬픔으로 얼룩진 이 조각상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교훈을 남겨주는 동시에
한 알의 밀이 썩어질 때 많은 생명의 열매를 맺는다는 예수님의 교훈을 일깨워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