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의 친구 맥킨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 맥켄지(W.J Maxkenzie) 1894년 가을에 황해도 솔내의 외딴 지역에서 마치 조선인처럼 살고 있었다.

인정이 많았던 그는 좋은 집에 살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친구인 조선인들이 어렵게 살고 있는데 자기만 혼자서 좋은 집에 사는 것이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여 그도 오막살이 집에서 살고 있었다.

또한 그는 자기 식성에 맞는 서양 음식을 먹으며 살 수 잇었음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어렵게 연명하고 있는데 자기만 혼자 좋은 서양 음식을 먹는 것이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여 조선 음식을 먹으며 살았다.

한번은 서울에 살고 있었던 언더우드의 부인인 릴리아스 혼톤9L. Horton) 여사가 크리스마스를 맞아 빵, 케이크, 깡통에 담은 과실, , 우유, 설탕 등을 맥켄지 선교사에게 보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을 한번 입에 대었다가는 다시는 조선밥을 먹을 수 없으리라고 여겨 자기는 하나도 먹지 않고 모두 동네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첨차 그의 몸은 영양부족에 시달리며 점차 허약해졌다.

또한 언어도 제대로 통하지 않았기에 육체적 고통뿐만이 아니라 정신적 고독에도 사달려야 했다. 이렇게 헌신적 삶을 살았던 맥켄지 선교사는1895년 여름 열병으로 말미암아 사랑했던 친구의 나라 조선땅에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머나먼 이방 나라에까지 와서 그는 이 땅을 떠나기 전까지 가장 귀한 우정과 사랑을 선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