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Before Christ) : 예수 탄생 이전(영어) 

A.D. (Anno Domine) : 주께서 오신 뒤(라틴어) 

서력기원은 스키타이 출신의 로마의 수도사인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525년 교황 성 요한네스 1세의 요청으로 

부활절의 정확한 계산법을 산출하여 지은 "부활절의 서"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당시 그리스도교를 박해했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즉위 기원을 사용했는데, 엑시구스는 

"대박해자의 이름을 영속시키지 않고, 우리 주 그리스도의 현현(顯現)으로부터 햇수를 세기 위해" 

그리스도가 탄생한 해를 기원원년으로 한 서력기원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예수가 태어난 해를 잘못 계산했습니다. 실제로는 그의 결과보다 4-6년 전이었죠).

 집정관(consul)을 임명하기 시작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재위 285-305) 이전에는 임기 1년의 선출직이었던

(제정 시대에는 이름뿐이었지만) 집정관 이름을 써서 나타냈습니다. 

예를 들어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가 집정관이었다면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가 집정관이었던 해"라는 식이었습니다.

 

 


                 BC와 AD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BC:기원전(紀元前)을 뜻하는 서력(西曆) 연대 표기의 기준.

 

 

 

영어로 '그리스도 이전'을 뜻하는 '비포 크라이스트(before Christ)의 약칭으로, 
그리스도의 탄생 이전과 이후를 서력 기원()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525년 스키티아 출신의 연대사가()·신학자인 디오니시우스엑시구스가 교황의 명을 받아 저술한 
《부활제의 서()》에서 비롯하여 연대() 표시의 기준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9세기 샤를마뉴 시대에
 일반화하여 오늘에 이른다. 독일에서는 v.Chr.G., 프랑스에서는 av.J.C.라고 약기()한다. 
한편, BC는 특정 종교에 기반한 연대 표기이므로 종교색을 배제하고 '공동 연대 이전'을 뜻하는 
'BCE(Before Common Era)'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으며, 미국의 공립학교와 일부 영어권 학교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다.

   
  AD:라틴어로 '그리스도의 해'라는 뜻.

그리스도 기원…년에, 또는 기원 후…년이라고 할 때 사용한다. 신학자 디오니시우스엑시구스가 

부활절의 서()》(525)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로마 건국 기원 754년에 두었다.

 이것이 3∼7년이 늦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나, 9세기의 샤를마뉴시대에 일반화되어 오늘에 이른다.